이번 고양 화재는 거대한 기름 저장소, 저유소에서 난 만큼 진화에 특히 어려움을 겪었습니다. <br /> <br />불길이 워낙 세서 소방대원 접근이 불가능했고, 유류 화재의 특성상 2차 폭발 위험성을 대비하느라 시간이 오래 걸렸습니다. <br /> <br />박조은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종일 화마와 사투를 벌인 관계자들은 당초 어젯밤 11시쯤이면 불길을 완전히 잡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. <br /> <br />[최준성 / 대한송유관공사 사장 : 지금 예측하기로는 오늘 11시 정도까지는 소진될 거라고 보고요. 시간당 40만~50만 리터 정도 연소될 거라고 보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기름 중에서 가장 잘 타고, 열기도 센 휘발유인 만큼, 소방당국은 속도에 집착하기보다는 확실한 방법을 택했습니다. <br /> <br />탱크에 남은 기름 440만 리터, 무려 주유소 140여 개를 가득 채울 수 있는 양의 휘발유를 배수 탱크와 연결해 모두 빼내는 게 첫 번째. <br /> <br />동시에 불길의 연료로 완전히 태운 이후 진화작업을 시작한다는 작전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유류 화재에 물을 뿌릴 경우 더 확산할 위험이 있어서 거품 형태 소화 약제인 '폼 액'을 준비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권운 / 고양소방서장 : 열확산 냉각수를 섞고 있습니다만. 밸브에 물을 공급하면서 동시에 특수화학 소방차가 있습니다. 동시에 탱크 위에서 같이 폼을 발사해서 작전을 그렇게 병행하겠습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예상과 달리, 진화 작업은 새벽까지 꼬박 16시간 넘게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불길에 뜨거워진 휘발유가 연결된 탱크로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았고, 열기를 식히려 냉각수를 넣고 빼는 작업까지 반복되면서 작업이 더뎌진 겁니다. <br /> <br />설상가상, 강한 열기 탓에 불길 위쪽으로 뿌린 폼액도 이렇다 할 효과가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꺼질 듯 되살아나길 수차례, 끈질긴 불길은 결국, 탱크 안 열기가 사그라든 가을 새벽녘에야 겨우 잦아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YTN 박조은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81008060657258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